1. 누군가를 거둔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가 쓴 단편 소설이다. 하지만 그 울림은 긴 시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내면을 조용히 흔들어왔다. 가난한 구두장이 '마르틴'이 길가에서 쓰러진 한 남자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오는 장면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는데, 거기서부터 모든 변화가 시작된다. 이 남자는 말이 없고, 표정도 없다. 그저 고요하게 앉아 구두를 만드는 일을 돕기 시작한다. 그 침묵은 처음엔 불편하지만, 곧 마르틴과 그의 아내의 삶에 스며든다. 독자는 이 이야기를 따라가며 '거두는 일'이 얼마나 위대한 선택인지를 차분히 목격하게 된다.
사람을 받아들이는 행위는 단순히 공간을 내어주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벽을 허무는 일이다. 마르틴의 집에 들어온 그 낯선 이의 존재는, 마르틴의 삶 자체를 바꾸어 놓는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그 지점에서 시작해, 결국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서서히 보여주는 작품이다.
2.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작품은 제목처럼 하나의 문장으로 오래 남는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톨스토이는 소설 속에서 이 질문에 세 가지 답을 보여준다. '사람 속에 있는 것',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 그리고 '사람이 살아가는 이유'에 대한 통찰이다. 하지만 이 답은 문장으로 직접 주어지기보다는 삶의 태도와 장면들 속에서 차곡차곡 드러난다. 사람은 결국 사랑으로 살아간다고, 이 책은 조용히 알려준다. 단지 먹고사는 일이 아니라, 누군가를 위하고, 용서하고, 함께 숨을 쉬는 일. 삶은 그 안에 있는 따뜻한 감정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종교적 메시지를 담고 있지만, 그것이 강요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믿음이란 절대적 진리를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곁에 머무는 일이라고 이 책은 말한다. 사람은 혼자 살아가지 않는다. 그것이 바로 이 소설이 전하려는 핵심이다.
3. 조용한 변화가 만드는 힘
구두장이 마르틴은 특별한 사람이 아니다. 그는 가난하고, 소박하며, 현실에 묻혀 살아가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일상에 들어온 낯선 사람으로 인해 그는 점차 달라진다. 처음엔 경계했고, 다음엔 받아들였고, 결국 마음을 열었다. 변화는 그렇게 시작된다. 거창한 계기나 충격적인 사건이 아닌, 반복되는 일상의 틈에서 조용히 자란다. 이 소설은 우리가 변화를 너무 드라마틱하게 상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묻는 듯하다. 진짜 변화는 의식하지 못한 채 우리 안에서 자라나는 감정과 시선의 전환에서 비롯된다고 말이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이 점에서 탁월한 균형을 가진 작품이다. 삶을 바꾸는 감정은 갑작스럽지 않다. 그 감정은 하루 한 끼의 식사처럼, 낯선 이를 바라보는 시선 하나처럼, 매우 작고 조용한 것들로부터 비롯된다.
4. 믿음이 머무는 자리
이야기 속에서 가장 인상 깊은 것은 '믿음'이라는 단어다. 마르틴은 자신이 거둬들인 이방인이 누구인지 알지 못한 채 함께 살아간다. 그 침묵을 수용하고, 낯선 이의 고통을 이해하려 애쓴다. 톨스토이는 사람을 믿는다는 행위를 신의 시선과 연결시킨다. 하지만 그 믿음은 전능한 존재가 아닌,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이 건네는 손길 속에 담겨 있다. 결국 누군가를 믿어보는 경험, 누군가에게 기댈 수 있는 여백, 타인의 고통에 눈을 감지 않는 마음. 그 안에서 삶은 지속된다.
믿음은 결코 이상적인 개념이 아니다. 그것은 구체적이며, 현실적이고, 때론 고통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믿음을 선택하는 사람들의 삶은 분명히 다르다. 톨스토이는 그 다름의 아름다움을 서술해준다.
5. 고통을 통과하는 방식
이 작품에는 고통이 자리 잡고 있다. 등장인물 모두는 각자의 상처를 안고 있다. 누군가는 굶주리고, 누군가는 버림받고, 누군가는 죽음을 앞둔 가족을 떠안고 살아간다. 그런데 이 고통은 무겁지만 억압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고통을 나누는 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타인의 아픔을 바라보고 함께 머무는 순간, 고통은 생존의 무게가 아니라 연결의 매개가 된다. 이 책은 바로 그런 연결을 말한다. 고통을 이겨내기 위해 강해지려 애쓰는 것이 아니라, 함께 앉아 있어주는 사람을 통해 버텨내는 것. 그것이 이 책이 전하는 고통의 통과법이다.
6. 마무리하며
이 책을 보며 나는, 우리가 왜 서로를 돌보는지, 왜 아픔 앞에서 멈춰야 하는지, 그리고 왜 매일의 삶이 여전히 가치 있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종교적 교훈도 아니고, 철학적 논증도 아니었다. 그저 삶의 진실을 아주 조용하게 보여주는 이야기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나는 이 책의 제목에 이끌려 그 답을 알기 위해 읽기 시작했지만 톨스토이는 답을 말해주지 않는다. 하지만 책을 덮는 순간, 어느새 나는 그 의미를 가슴으로 느끼고 있었다. 누군가를 거두고, 기다려주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것. 그것이 사람을 살게 하는 이유이며, 그 마음이 곧 살아가는 힘이 되는 것이다.
함께 보면 좋은 작품
2025.06.18 - [▶도서 리뷰] - 히가시노 게이고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리뷰 - 편지 속에 담긴 삶의 온도
히가시노 게이고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리뷰 - 편지 속에 담긴 삶의 온도
1. 우연히 열어본 시간의 문히가시노 게이고의 은 미스터리나 감동 소설의 틀을 넘어서, 인간의 삶을 다시 들여다보게 만드는 이야기다. 세 명의 도둑이 우연히 숨어든 한 폐가에서 시작된 이 이
hhha1.tistory.com
2025.06.19 - [▶도서 리뷰] - 미하엘 엔데 <모모> 리뷰 - 시간을 훔친 자들과, 시간을 되찾은 아이
미하엘 엔데 <모모> 리뷰 - 시간을 훔친 자들과, 시간을 되찾은 아이
1. 천천히 살아가는 아이는 '시간'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을 가장 아름답고 깊이 있게 그려낸 동화다. 하지만 그 어떤 동화보다 더 철학적이고, 그 어떤 철학서보다 더 마음을 움직인다. 모
hhha1.tistory.com
'▶도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툴 가완디 <어떻게 죽을 것인가> 리뷰 - 삶의 마지막에서야 깨닫는 것들 (1) | 2025.07.11 |
---|---|
한스 로슬링 <팩트풀니스> 리뷰 - 불안의 안경을 벗고 세상을 다시 보다 (2) | 2025.07.10 |
중국 로맨스 추리 소설 <잠중록> 리뷰 - 기억과 진실이 교차하는 추리의 미로 (0) | 2025.06.27 |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리뷰 - 인간을 보는 냉철한 거울 (0) | 2025.06.23 |
히가시노 게이고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리뷰 - 편지 속에 담긴 삶의 온도 (1) | 2025.06.19 |